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4. 개복치의 수행 : 경제학편

다시 보는 맨큐의 경제학 - Chapter 3. 경제학의 10대 기본 원리 : 합리적인 판단은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

★개스피★ 2023. 2. 27. 02:04
728x90
반응형

BGM : KBS 대하드라마 해신 OST - 염장 테마

https://www.youtube.com/watch?v=9srMSxILTUQ&list=PLW_1YFY1bZEn1JWtnWBeTf-kKgluVQSDf&index=3 

이번에는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중 세 번째인 '합리적 판단은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필자는 경제학을 기본부터 충실히 복습하기 위하여 만화로 보는 맨큐의 경제학을 다시 꺼내 들었다. 대학교 교양필수 과목으로 들었던 경제학 책보다는 내용이 가볍고 이해하기가 쉽기 때문에 경제학에 관심 있는 많은 분들이 이 책을 읽어보길 권한다.

10대 기본원리 중 세 번째 : 합리적 판단은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

합리적인 사람은 주어진 기회를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이며 어떤 의사결정에 따른 한계편익이 한계비용보다 클 때만 그 대안을 선택한다. 경제학자들은 사람들이 행동이나 현재의 계획을 조금씩 바꾸어 적응하는 것을 한계적 변화라고 부른다.

<출처 : The Asian, http://kor.theasian.asia/archives/7529 >

 

한계편익(marginal benefit) : 사람들이 행동이나 현재의 계획을 조금씩 바꾸어 이익을 얻는 것

한계비용(marginal cost) : 사람들이 행동이나 현재의 계획을 조금씩 바꾸어 비용을 치르는 것

 

우리는 한계편익을 마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1+1행사, 할인 행사 등이 그 예시이다. 마트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유통사 혹은 제조사는 제품 할인 행사를 통하여 재고를 빠르게 소진하려고 한다. 마트에 제품을 오래 보관하는 한계비용보다 빠르게 회전시켜 한계편익을 얻으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사람들은 할인 행사를 통하여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람들은 가격 비교, 제품의 필요성, 대체 제품 여부 등을 합리적으로 고려하여 제품의 구매를 결정할 수 있기에 사람들에게도 한계편익이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꼭 사람이 한계편익만을 고려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아니다. 제품 자체의 가치와 효용성이 높아 더 비싼 가격을 감당하고 구매하는 제품이 있다. 그 예시는 명품가방, 명품시계 그리고 입지 좋은 고가 아파트가 있다. 부를 많이 축적한 사람들은 명품가방이나 명품시계를 구매할 확률이 높다. 이는 명품가방과 명품시계에 대한 가치와 효용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입지 좋고 교통이 편리하며 학군이 매우 훌륭하게 형성된 지역의 경우, 아파트의 가치가 상당히 높아진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이 그 아파트를 구매하려고 한다. 이처럼 한계비용이 높더라도 그 가치와 효용성이 크다면 합리적인 사람들은 기꺼이 그 가치를 지불하게 된다.

아무리 사람이 생존하는데 필요한 요소이지만 가치와 효용성이 매우 낮은 제품도 존재한다. 바로 물과 산소이다. 이것들은 경제학에서 필수재라고 불린다. 또한, 한계비용을 크게 지불하는 재화의 경우는 왜 발생하는가? 이를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는 '스미스의 역설'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한계효용학파의 이론을 통하여 이 이유가 설명된다. 한계효용학파에서는 상품 가격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한계효용이며 한 상품의 한계효용은 그 상품의 소비량에 반비례한다는 것이다.

 

즉, 물과 산소는 필수재이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소비하는 양보다 상품의 양이 훨씬 많기 때문에 한계효용이 크지 않다. 그러나 명품가방과 명품시계 그리고 입지 좋은 아파트 등은 사람들이 소비하는 양보다 상품의 양이 훨씬 적기 때문에 한계효용이 크다. 아무리 물이 많다고 해도 사람이 하루에 10리터 이상 물을 마실 수는 없다. 이렇듯 사람이 한 재화를 충분히 소비하게 되면 한계효용은 떨어지게 된다.

 

이 논리라면 물과 산소 역시 가격이 한계효용이 증가할 수 있다. 우리는 이 현상을 이미 목도하였다. 중국발 미세먼지가 대한민국을 덮쳤을 때 사람들은 각 가정에 공기청정기를 구매하여 설치하였다. 맑고 깨끗한 산소를 마시고자 하는 욕망이 산소에 대한 한계효용을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그리고 길거리에 마스크를 쓰는 사람들도 늘어났다. 이렇듯 한계효용의 증가는 사람들로 하여금 한계비용을 쓰도록 한다.

 

물의 경우는 어떠한가? 요즘 각 가정의 수도꼭지 혹은 샤워기에 '수돗물 정화 필터'를 꽂아 사용하고 있다. 이는 2020년 전만해도 상상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수돗물의 오염상태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었다. 이로 인하여 수돗물을 정화하여 사용하는 필터 시장이 급성장하였으며 생수 시장도 역시 급성장하게 되었다. 

<출처 : 이투데이 뉴스, https://www.etoday.co.kr/news/view/1919555 >

 

사람들이 한계적으로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 기준은 바로 희소성이다. 희소성에 따라 재화의 가치가 달라진다. 그리고 기꺼이 사람들은 희소성이 높은 재화에 그 대가를 지불한다.

 

 

728x90
반응형